본문 바로가기

경제_제태크

K-배터리 2차전지,세계정복을 꿈꾸고 있다

오늘은 그동안 우리나라 언론들에 의해서 왜곡된 보도로 저평가받던 케이배터리에 대해서 다각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반도체를 이어서 차세대 한국의 먹거리로 떠오르고 있는 케이배터리 과연 중국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유하면서

세게 시장에 우뚝 설 것인지 따져 보도록 하겟습니다.

 

 

 

한국은 배터리셀을 생산하는 배터리 삼사와 포스코 케미컬, lg화학, 에코프로 BM, 엘앤에프 등이 이끄는 양극제 생성 기술에서 독보적인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자동차 산업으로 치면 완성차와 엔진 제조에서 글로벌 선두를 달리고 있다고 보면 됩니다. 중국산 리튬인산철 배터리 성장과 가격 공세에 밀려 혹시나 퇴출되는 거 아닌가 하는 우려가 있었지만 업계의 관계자는 그렇지 않다고 일측 합니다.

한국 삼사의 배터리 출하량이 중국 CATL 출하량보다 적다고 하면서 위기라고 하지만 겉으로 드러난 점유율 수치만 갖고 위기라고 할 수는 없는 것입니다. 이는 중국에서 팔리는 전기차의 출하량만 가지고 비교하는 것도 마찬가지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배터리만 해도 CATL은 우리 삼사에 비해 이익이 적다는 것이고. 또한 한국 업체들이 올해부터 리튬 인산철 배터리 공급이 시작되면 상황은 크게 달라 달라질 것이라고 관계자들은 예상하고 있습니다. 

 

중국과는 격이 다른 인산철 배터리(LFP) 생산

 

점유율은 실제 의미가 없다는 상황을 중국 업체들이 이미 잘 알고 있기 때문에 국내 언론들이 보도하는 것과는 달리  한국 배터리 삼사들을 계속 모니터링 견제하고 있습니다. 특히 LG 에너지설루션이 지난해 개발에 이어 본격적으로 리듬 인선철 배터리 양산 단계에 진입하고 있는 것이 알려지자 바짝 긴장하며 가격을 내리는 등 견제를 시작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삼사들은 그동안 리듬 인산철 배터리 성능 때문에 개발 및 생산에 주저하며 한국산 배터리 고급화 등 성능을 내세우며 중국산과 차별화를 했습니다. 그러나 시장은 성능보다 가격을 우선시하는 추세가 강해지면서 고급 브랜드 전기차들까지 리튬인산철 배터리 장착을 시작하자 결국 한국 배터리 삼사들도 인산철 배터리 시장에 뛰어든 것입니다. 

 

그런 가운데 LG에너지설루션의 리튬 인산철 배터리가 양산 체제의 돌입 단계에 있는 것으로 알려진 인산철 배터리는  기존 중국산 저가의 배터리와 달리 밀도와 효율 등 품질 이슈를 해결한 상태로 차원이 다른 리듬 인산철 배터리를 선보일 것이라고 LG 에너지 설루션이 밝히고 있습니다. 한국 배터리 삼 사가 리튬인산철 배터리를 만들지 않은 것은 이유가 있습니다. 우리 삼사가 주력하고 있는 3원계  배터리는 제조 원가가 높지만 폐 배터리 재활용 시 경제성이 크다는 장점이 있지만 리튬 인산설 배터리는 재활용 시 경제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한국 삼사는 이미 배터리 재활용을 염두에 두고 배터리를 양산하고 있다는 의미 입니다. 우리 삼사는 앞으로 배터리 제작을 기존의 3원계 고급 배터리와 저가의 리듬 인산철로 이원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은 IRA법안을 통해 철저히 중국을 배세할수 있을까

 

포드가 시에티엘과 손잡고 백 프로 포드가 출자해 미국에서 리튬인산철 배터리를 양산하겠다고 하지만 실제는 중국선 배터리를 들여오는 것과 같습니다. 
명목상 중국에서 기술을 지원받아 미국에서 생산하겠다는 것이지. 실상은 다릅니다. 중국 정부가 제동을 건 것은 기술 유출에 따른 우려에 따라 핵심적인 기술은 주지 않고 중국에서 만들어져 공급될 것으로 업계에서는 보고 있습니다. 말하자면, 중국산이 그대로 사용된다는 것이고. 이는 분명하게 바이든의 정책에 위배되는 상황입니다. 중국산을 제지하겠다고 했지만, 바이든 정부는 상황에 따라 다르게 적용시키겠다는 의미가 아닌가 합니다. 포드는 기술 이전을 노리고 있기 때문에 한국의 리튬인산철 배터리를 양산한다고 해도 포드는 중국과 합작을 그대로 밀고 나갈 것으로 보입니다.

 

 

세계는 한국 케이배터리를 원한다

 

 

이런 배터리 시장의 각축장에서 한국의 움직임에 세계 배터리 업체와 완성차 업계에서 항상 주목이 되는 것은 당연합니다. 세계 최대 배터리 산업 전시회는 한국에서 열리는 인터배터리 2023입니다. 인터 배터리는 국내 배터리 기업이 참가해 최신 배터리 제품과 차세대 기술을 선보이는 배터리 각축장으로 회를 거듭할수록 국내에 관련 업계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 전시입니다. 
최영이 에코프로 CSR 추진팀 이사는 11년째 열린 인터 배터리에 올해처럼 외국의 기업들과 인파가 몰린 것은 처음이라면서 글로벌 배터리 기술력을 주도하는 한국 배터리 기업과 기술에 관심이 얼마나 큰지 알 수 있는 모습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배터리 소재 및 부품 기업과 배터리 충전업체 재사용 재활용 업체까지 모두 77개 기업이 참가한 역대 최대 규모로 지난해 197개 참가 기업 대비 규모가 두 배 이상 커졌습니다. 특히 올해 관심을 끈 것 중 하나는 16개국 101개의  해외 기업과 정부가 참가했는데 이 중 7개국의 정부 및 공공기관이 직접 부스를 운영하는 이례적인 모습 때문입니다. 이는 한국 배터리 기업을 유치하기 위해 미국 8개 주와 스웨덴 호주 체코 등이 최근 서울에 사무실을 내고 국내 전시회에 참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각국들이 배터리에 관한 제품을 홍보하기 위해 참가한 것이 아니라 한국 배터리 삼 사와 함께 그에 관련된 기업들을 유치하기 위한 홍보 부스인 것입니다. 

한국 배터리 기업을 유치하면 2030년까지  6년 이상 관계가 지속된다는 판단 때문에 아예 한국에 사무실을 낸 뒤 한국인 직원들을 뽑아 장기간에 걸친 로비를 통해 한국 기업들 유치하려는 태세입니다. 각 국가주들은 법인세 0% 전략 접근성 1위 최고 최적의 기업환경 제공이라고 한글로 쓰인 홍보 문구를 큼지막하게 붙여놓고 한국 기업들에게 홍보보전을 펼쳤습니다. 미국뿐 아니라 스웨덴 호주 체코도 따로 부스를 만들었습니다. 스웨덴에서는 세계적인 스웨덴 업체 볼보에서 자동차와 트럭 제품의 전동화 전환을 빠르게 진행하고 있다면서 유럽 브랜드 모든 업체와 교류하기 쉽다고 안내했고 호주는 친환경적인 배터리 원료 공급을 체코는 풍부한 노동력을 장점으로 각각 내세웠습니다. 또한 지난 9회 포스코 케미컬 양극제 광양 공장을 방문한 지엠 관계자들은 전기 자동차 100만 대를 만들 수 있는 양극제 9만 톤이 한 치의 오차도 없이 자동 생산되는 모습을 보며 연신 언빌리버블 하다고 하면서 배터리 최강국 덥다며 극찬을 아끼지 않았습니다

양극제는 배터리 4대 소재, 즉 양극제 음극제 전해질 분리막 중 가장 중요한데 이는 한번 충전할 때 주행할 수 있는 거리와 관련된 배터리 용량을 결정 짓기 때문입니다. 포스코케미컬의 광양 공장은 니켈 비중 80% 이상 극대화한 하이니켈 양극제를 생산하고 있는데, 이 제품은 지난해 7월 포스코 케미컬이 지엠과 체결한 13 조 7696억 원 규모의 양극제 공급 계약에 따라 LG 에너지솔루션이 지엠에 공급합니다. 

 

 

 


관계자는 포스코케미칼의 광양공장은 전기차에 관련된 업체들이 필수 견학 코스라고 했습니다. 그리고 견학하는 관계자들이 연신 탄성을 지르는 이유는 광양공장에 설치되어 있는 9개의 약 50미터 길이 초대형 소송료들과 한 치의 오차 없이 생산되는 과정 때문입니다. 소성로는 배터리 심장인 양극제가 탄생하는 장비로 도자기를 굽는 활로와 비슷합니다. 양극제는 소성 공정을 거치면서 배터리에 필요한 전기적 화학적 특성을 갖게 됩니다. 

 

폐배터리 리사이클링으로 광물 수급문제 해결

 

배터리는 광물 의존산업으로 광물을 확보하지 않고는 배터리 패권을 가질 수 없습니다. 중국이 2015년부터 글로벌 핵심 광산 지분을 흡수하며 공금망을 장악해 온 것이 미국과 유럽연합으로 하여금 인플레이션 감축법과 핵심 원자재법 등으로 중국에 쏠린 광물 공급망을 재편하려는 것이 그 목적입니다.  세계 1위 제조능력을 갖추고도 광물 확보에 실패해 배터리 패권을 내줘야 하는 절차 절명의 시기를 맞을 수 있습니다. 중국은 전기료와 땅값이 싼 데다 환경 규제도 없어 낮은 비용으로 배터리 원료를 생산할 수 있고 미국과 유럽도 법안을 만들어 광물 확보에 나서고  있지만 우리는 대부분의 광물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형편입니다, 이에 그 대안으로 폐 배터리를  재활용하는 페베터리 리싸이클링 산업으로 광물 생산국으로 도약하는 게임 체인처를 향해 선제적으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폐배터리 재활용이 우리나라의 광물 해외 의존 문제를 해소시켜 줄 대안으로 떠오르면서 핵심 광물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배터리 제조업 기술에도 불구하고, 핵심 광물을 중국과 호주 중남미 등 해외 국가에 의존하고 있는 현재의 취약한 공급망을 개선할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거기에 중국산과 달리 우리나라가 주력하고 있는 3원 계개 배터리는 제조 원가가 높아 재활용 시 경제성이 높다는 것도 장점으로 꼽힙니다. 중국산에 밀려 한국 배터리 산업이 위기라는 말이 돌고 있지만 정작 배터리 업계에서 보는 관점은 다릅니다. 또한 배터리 사의 취약점이었던 광물 채굴의 지속적인 노력을 벌이면서 벌써부터 상당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는 것은 위기에 강한 한국이라는 말이 그냥 생겨난 것이 아님을 새삼 느끼게 해 주고 있습니다

 

https://ghostl.tistory.com/95 <<== "3500조 시장 해상풍력 관심주"도 읽어보세요